개발자를 희망하는 초보의 자기개발 이야기

클린코드 Assignment #07 : 형식 맞추기 본문

도서/클린코드(Clean Code)

클린코드 Assignment #07 : 형식 맞추기

클라우드아실 2024. 12. 8. 01:07
반응형

 

💡TIL (Today I Learned)

2024.12.07

📖 오늘 읽은 범위

5장. 형식 맞추기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 일관된 형식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핵심이다.
  • 적절한 줄바꿈과 여백으로 코드를 시각적으로 분리하고, 논리적 흐름을 명확히 해야 한다.
  • 팀의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고,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형식 논쟁을 최소화 한다.

📝 오늘 읽은 소감은?

형식 맞추기는 내 생각에 가장 쉽게 클린 코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면서 사실상  Prettier와 ESLint가 필수가 되면서 자동으로 포맷팅이 되니까 잘 모를 수 있는 기본적인 영역이다. 사실상 클린 코드의 가장 큰 목표가 나와 동료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만 잘 지켜도 협업 생산성이 높아진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React는 변수처럼 Hook을 상단에 기재하는데 클린코드에서는 변수는 사용하는 위치에 최대한 가까이 선언하라고 한다.
  • 각 Hook을 개별 함수의 상단에 위치시키면 안되는 것인지 조사  
    • 리액트에서 Hook은 공식문서에서 최상위에서만 호출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 이는 Hook이 컴포넌트의 상태와 로직을 관리하기 때문으로 데이터 흐름상태 관리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규칙이다.
    • Hook이 그 중첩 함수 내부에서만 의미가 있을 때는 중첩 함수 근처에서 호출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지만, 그럴 경우에는 CustomHook을 만드는 것이 더 나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