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를 희망하는 초보의 자기개발 이야기

Command Line 본문

프론트엔드(Front-end)/JavaScript

Command Line

클라우드아실 2021. 1. 3. 23:11
반응형

Command Line

 :  이전 ms-dos를 써본 사람이라면 검은화면에 직접 타이핑 하던 cd, dir, m 같은 명령어에 익숙할 것입니다. 커맨드 라인(command Line)은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라고도 불리는데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출력됩니다. 지금의 아이콘을 가지고 조작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이 나오기 전부터 사용되던 방식입니다.

현재도 빠르고 강력하고 접근성이 좋으며 AWS및 Azure등 서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몇가지 명령어에 대해서 기록하겠습니다.

먼저 윈도우에서는 gitforwindows.org/에 접속하여 GitBash를 설치해서 진행하면 되고 맥은 터미널에서 git을 입력하면 설치여부를 물어봅니다. 우분투의 경우 터미널에서 sudo apt install git을 입력하면 됩니다.

ls

 : list라는 의미로 현재 폴더(=디렉토리)위치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dir과 같습니다.
ls -al을 입력하면 
(접근권한) (링크된 파일 갯수) (소유자) (소유그룹) (파일 크기) (만든 날짜) (만든 시간) (파일/디렉토리 이름) 순으로 정렬해서 나타납니다.

cd

 : 폴더간 이동 할 때 쓰는 명령어로 윈도우와 동일합니다. .을 찍을 때는 공백 한칸을 꼭 둬야 합니다.

cd ~ 현재 사용자의 개인화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
cd / 루트 디렉토리(시스템 최상위 디렉토리)
cd . 현재 디렉토리
cd .. 부모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디렉토리 확인

※ 폴더 이름에 공백이 있는 경우 ex) My name 폴더에 접근할 때 cd My까지 누르고 Tab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됩니다.

touch

 : 빈 파일 생성 명령어입니다.
touch list.txt 와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mkdir

 : make directory의 약자로 폴더 생성 명령어 입니다. 
mkdir hello와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mv

 :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폴더를 이동시킵니다. 파일명도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를 기준으로 mv list.txt hello로 입력하면 hello로 폴더로 list파일이 이동합니다. 
파일명을 바꿀 때는 mv list.txt last.txt로 입력하면 파일명이 list에서 last로 바뀌게 됩니다.

cat

 :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cat last.txt를 입력하면 last파일 내의 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

 : 복사 명령어로 copy의 약자입니다. 
cp last.txt ~/Downloads/ 와 같은 형태로 입력하면 기존 폴더에서 Downloads폴더로 복사됩니다.

rm

 : re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폴더 삭제 명령어 입니다. 
rm last.txt 이런 형태로 파일을 삭제하거나
rm -r ~/Downloads/ 와 같은 형태로 폴더 삭제가 가능합니다.
휴지통으로 이동 없이 삭제되어 복구 불가하니 주의합니다.

chown

 : sudo touch list.txt와 같은 형태로 파일을 만들면 소유자가 root로 생성되고 일반적인 형태로는 수정이 불가합니다. 이 때 sudo chown [소유자명:소유그룹] list.txt 형태로 소유자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clear

 : 화면상에 나온 내용들을 깨끗이 지우고 빈 화면으로 다시 보고 싶을 때 clear만 입력하면 됩니다.

폴더열기 단축키

explorer . 을 입력하면 현재 폴더의 윈도우 탐색기가 오픈되며
open . 을 입력하면 mac의 Finder가 오픈됩니다.
code . 을 실행하면 현재 폴더에서 vscode가 실행됩니다.

정리

  • ls // dir과 같다.
  • cd // 폴더간 이동
  • clear // 화면 초기화
  • mv // 폴더나 파일 이동
  • cp // 복사

 

명령줄 인터페이스

장고걸스 튜토리얼

반응형

'프론트엔드(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 ... of / for ... in  (0) 2021.01.03
Git이란?  (0) 2021.01.03
JavaScript 객체(object)  (0) 2021.01.03
JavaScript 배열(Array)  (0) 2021.01.03
JavaScript 반복문(Loop)  (0) 202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