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바스크립트
- 공부를 가장한 일기일지도
- 노개북
- 비전공자를 위한
- 구름edu
- 최원영 저자
- 이해할 수 있는
- js
- boj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IT 지식
- 노마드코더
- CodeStates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SQLD
- 알고리즘
- 엘리스코딩
- 톺아보기
- 제로베이스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오블완
- 자격증
- K-Digital Credit
- 개발자북클럽
- SQL 개발자
- nomadcoders
- 노마드 코더
- Do it! 시리즈
- Today
- Total
개발자를 희망하는 초보의 자기개발 이야기
Git이란? 본문
Git이란?
: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어떠한 파일의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중간중간 작업물을 저장하고 그 기록들에 대해서 누가 바꿨는지 어떤 내용이 바꼈는지를 확인하거나 마찬가지 서로서로 협업하며 수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Git과 Github의 차이
: Git은 로컬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이고 비슷한 이름의 Github는 저장소를 깃허브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합니다. 즉, 개인적인 작업이라면 Git을 사용하고. 오픈소스 공유나 협업 등을 하는 거라면 Github를 이용. 파일을 올리거나 다운로드해서 협업해 수정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3가지 개념이 나옵니다.
- 커밋(Commit) : Git(로컬 저장소)에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하는 작업
- 푸쉬(Push) : Github(또는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하는 작업
- 풀(Pull) : Github(또는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작업
repository
: 저장소라고도 하고 파일이나 디렉토리 등을 모두 담을 곳의 개념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repository를 복사하거나 이 안의 정보를 수정하게 됩니다.
fork
: 다른 사람의 Github repository을 내 Github repository로 그대로 복제하는 기능입니다. fork한 저장소는 원본과 연결되어 원본의 정보가 바뀌면 fork한 repository도 그 변화를 반영 가능합니다.
clone
: 특정한 repository를 내 local machine에 복사하여 새로운 저장소를 만듭니다. 이것은 origin 형태로 저장됩니다. 따로 복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original repository의 commit이나 log 기록이 반영되지 못합니다.
Git 복사 및 업로드까지
기존 저장소를 Clone 하기
: git clone <url> 명령으로 저장소를 Clone 합니다.
ex) git clone http://www.git.com
파일의 상태 확인하기
: git status 명령으로 수정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정이 되었으나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것이 있다면 Untracked 로 나타납니다.
ex) git status
파일을 새로 추적하기
: git add 파일명 을 입력합니다. 그럼 이제 커밋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다시 git status를 하면 Tracked 상태이면서 커밋에 추가될 Staged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 git add list.txt
변경사항 커밋하기
: git commit -m "첨부할 인라인 메세지" 형태로 입력하면 메세지와 함께 커밋 됩니다.
ex) git commit -m "test success"
리모트 저장소에 Push 하기
: 커밋한 내용까지 모두 저장소에 push하고 싶을 때 git push <리모트 저장소 이름> <브랜치 이름>으로 사용합니다.
ex) git push origin master
pull request
: 이제 git에 해당 repository에 들어가면 pull request가 초록색버튼으로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실행시키면 처리 완료.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면 됩니다.
리모트 저장소에서 받아오기
: 만약 협업하면서 다른사람이 push 한 수정사항을 다운로드 하고싶을 때는 pull 명령을 사용합니다.
ex) git pull origin master
원본 저장소에서 받아오기
: 만약 clone한 repository가 아니라 원본 자체에 수정이 있다면 origin 대신 upstream을 입력해서 pull 합니다.
ex) git pull upstream master
기존 디렉토리를 깃 저장소로 만들기
: 모든 것은 일단 해당 디렉토리로 먼저 이동후 진행해야 합니다.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이라는 하위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 $ git add *.c
- $ git add LICENSE
- $ git commit -m 'initial project version'
이렇게 순서대로 명령해주면 Git 저장소를 만들고 파일 버전 관리를 시작합니다.
정리
- fork(원본과 연결된 상태로 복사) - clone(자체 복제) - add(업로드대기) - commit(변경사항 로컬저장소에 기록) - push(깃헙 저장소에 기록) - pull request(변경사항 최종 승인요청)
- git과 github의 차이
참고
'프론트엔드(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Fixed / toString / Math 메소드 (0) | 2021.01.03 |
---|---|
for ... of / for ... in (0) | 2021.01.03 |
Command Line (0) | 2021.01.03 |
JavaScript 객체(object) (0) | 2021.01.03 |
JavaScript 배열(Array)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