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최원영 저자
- 비전공자를 위한
- js
- 톺아보기
- CodeStates
- SQL 개발자
- 공부를 가장한 일기일지도
- 개발자북클럽
- 티스토리챌린지
- 자격증
- 자바스크립트
- 노개북
- 알고리즘
- 구름edu
- nomadcoders
- IT 지식
- 엘리스코딩
- 노마드 코더
- 프로그래머스
- 이해할 수 있는
- javascript
- Do it! 시리즈
- boj
- K-Digital Credit
- 백준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제로베이스
- 노마드코더
- 오블완
- SQLD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3)
개발자를 희망하는 초보의 자기개발 이야기

JavaScript toFixed / toString / Math 메소드 toFixed : 자바스크립트는 정수, 실수에 대한 자료형을 따로 구분하지 않습니다. toFixed는 만약 소수점 아래의 자릿수를 고정해서 반환하고 싶을 때 파라미터로 숫자 값을 전달해 주면 그만큼 소수점 아래의 자릿수를 반올림해서 고정해 주는 메소드입니다. let number = 0.1234; console.log(number.toFixed(3)) // '0.123' 출력 : 존재하는 자릿수 값보다 큰 수를 파라미터로 전달하면 0을 추가해서 출력합니다. let number = 0.1234; console.log(number.toFixed(6)) // '0.123000' 출력 : 단, 문자열로 반환하기 때문에 계산할 때 사용하려면 ..

JavaScript for ... of / for ... in for ... of : for문으로 반복문을 사용하는 비중이 가장 많습니다. 이 때 초기화, 증감문(i++), length를 반복해서 인덱스를 활용해 배열순회를 많이 합니다. let arr = [1, 2, 3, 4, 5, 6]; for(let i = 0 ; i < arr.length ; i++){ console.log(arr[i]); } // 배열 전체를 반복 순회하면서 1부터 6까지 출력됨. : for ... of문을 사용하면 배열 순회시 간결하게 전체를 순회할 수 있습니다. 변수 i나 증감문 설정 없이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됩니다. 각 요소를 대상으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리합니다. 성능에 있어서는 일반 for문보다 느리다는 의견도 ..

Git이란? :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어떠한 파일의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중간중간 작업물을 저장하고 그 기록들에 대해서 누가 바꿨는지 어떤 내용이 바꼈는지를 확인하거나 마찬가지 서로서로 협업하며 수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Git과 Github의 차이 : Git은 로컬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이고 비슷한 이름의 Github는 저장소를 깃허브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합니다. 즉, 개인적인 작업이라면 Git을 사용하고. 오픈소스 공유나 협업 등을 하는 거라면 Github를 이용. 파일을 올리거나 다운로드해서 협업해 수정이 가능합니..

Command Line : 이전 ms-dos를 써본 사람이라면 검은화면에 직접 타이핑 하던 cd, dir, m 같은 명령어에 익숙할 것입니다. 커맨드 라인(command Line)은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라고도 불리는데 가상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출력됩니다. 지금의 아이콘을 가지고 조작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이 나오기 전부터 사용되던 방식입니다. 현재도 빠르고 강력하고 접근성이 좋으며 AWS및 Azure등 서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

JavsScript 객체(object) : 객체란 이름(key)과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property)의 집합입니다. 프로퍼티=속성이라고도 하며 아래의 예시에서는 총 4개의 속성이 있습니다. 중괄호{}를 사용해서 만듭니다. 키와 값 사이에는 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속성은 쉼표로 구분해 줍니다. let user = {firstName : 'Steve', lastName : 'Lee', email : 'steve@codetsates.com', city: 'Seoul'}; : 속성별로 한줄씩 줄바꿈하면 가독성이 좋습니다. 객체에서 키는 따옴표로 감싸도 되고 감싸지 않아도 되지만 2번째 속성 last Name은 따옴표로 감싸줬습니다. 이처럼 키 값에 띄워쓰기가 있는 경우는 감싸줍니다. 자바스..

JavaScript 배열(Array) : 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대괄호를 이용해 배열을 만들고, 각각의 원소(element)는 쉼표로 구분해 줍니다. 배열 원소는 타입이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인덱스는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let myNumber = [1, 2, , 4, "문자열"]; : 순서는 인덱스(index)라고 부르며, 0부터 번호를 매깁니다. 인덱스를 이용해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let myNumber = [1, 2, 3, 4, 5]; myNumber[3]; // myNumber 배열의 3번째 인덱스값은? 4 : 값을 변경할 때는 마찬가지 인덱스를 이용해서 할당해 줍니다. let myNumber = [1, 2, 3, 4, 5]; myNumber[3] = 40..

JavaScript 반복문(Loop) : 반복문은 같거나 비슷한 코드를 여러 번 실행시켜야 할 때 사용합니다. for 형태가 대표적으로 기본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1부터 4까지 반복해서 출력하는 반복문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for(초기화; 반복조건; 반복이 될 때마다 실행되는 코드){ 반복해서 실행될 코드 } : 초기화 부분은 for문 안에서 동작할 임의의 변수와 시작값을 할당해주는 부분입니다. 보통 i를 많이 쓰는데 iterator(반복자)의 약자로 봅니다. 1부터 더해야 하기에 i = 1을 할당해서 선언합니다. ; 표기로 항목을 구분합니다. for(let i = 1; 반복조건; 반복이 될 때마다 실행되는 코드){ 반복해서 실행될 코드 } : 조건식은 언제까지 해당 코드를 반복할지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JavaScript 문자열(String) :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은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둘다 사용은 가능하지만 HTML이 주로 큰따옴표("")로 마크업 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작성하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let myName = 'Lee'; let yourName = "Park"; : 문자열의 접근은 []를 사용합니다. 문자열 자리 순서(index)는 0부터 시작합니다. let str = 'GoodNews'; console.log(str[0]); // 'G' console.log(str[4]); // 'N' :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단 숫자 + 문자열은 문자열로 최종 처리됩니다. let str1 = ..

JavaScript 조건문(condition) : 조건문은 특정한 조건 아래서만 코드가 실행되게 하는 구문. 즉, 표현식의 결과값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문입니다. 조건문에는 반드시 비교 연산자가 필요합니다. 비교의 결과는 Boolean형태, 즉 true 또는 false입니다. 3 > 5; // false 9 < 10; // true : 1은 숫자고 '1'은 문자열로 자료형이 다릅니다. 연산자에서 기술했듯이 자료형까지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치연산자) 또는 !==(불일치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1 == '1' // ture 1 === '1' // false : 조건문 중 if문에 대해 공부합니다. if로 시작하고 괄호 안에 조건이 오는데 값이 true라면 중괄호 {} 안의..

JavaScript 연산자(operator) : 연산자란 말 그대로 연산. 즉 계산을 위한 기호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조건문과 결합해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사칙연산을 다루는 +, -, *, /, % 등을 가리켜 산술연산자라 합니다. = 의 경우 대입연산자라 하며 오른쪽의 값을 왼쪽으로 대입해 줍니다. let i = 10; i = i + 2; // 12 i = i - 2; // 8 i = i * 2; // 20 i = i / 2; // 5 : 사칙연산 기호 이외에 %는 나누고 난 나머지를 계산해 줍니다. 조건문에서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판단할 때 자주 사용하니 이 기호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아래 예시처럼 2로 나눠서 0이 남으면 짝수, 1이 남으면 홀수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let i = 10; if(i ..